[Algorithm] DP(다이내믹 프로그래밍)에 대해 알아보자
이번 글에서는 다이내믹 프로그래밍(Dynamic Programming)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 글은 고려대 김선욱 교수님 강의와 위키피디아를 참고해 정리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. 그럼 시작하겠습니다.
Dynamic Programming
다이내믹 프로그래밍이란 계산 결과를 저장(Memoization)해 두었다가 재활용하는 기법입니다. 본질적으로는 모든 경우의 수를 다 계산해보는 전역 탐색(exhaustive search) 기법입니다만, 이미 저장해 둔 계산 결과를 다시 써먹는 방식으로 반복되는 계산을 줄입니다.
다이내믹 프로그래밍은 원 문제를 작은 부분문제로 쪼개어 푼 뒤 그 결과를 합치는 분할정복(divide and conquer)과는 차이가 있습니다. 분할정복 문제는 부분문제가 서로 독립적일 때 적용하는 기법입니다. 분할정복은 부분문제의 해를 재사용하지 않고 그저 합치기만 합니다. 하지만 다이내믹 프로그래밍은 부분문제가 서로 겹칠 때 씁니다. 덕분에 부분문제의 해(solution)를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.
다이내믹 프로그래밍은 optimal value와 optimal solution을 찾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. 따로 설명드리겠지만, 행렬 스칼라 곱 연산을 다이내믹 프로그래밍으로 풀 경우 스칼라 곱 최소 횟수가 optimal value, 이 횟수에 대응하는 행렬 곱 순서가 optimal solution이 됩니다. 행렬 스칼라 곱 연산과 관련해서는 이따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이 글에서는 다이내믹 프로그래밍을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예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Rod Cutting
Rod cutting 문제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통나무를 어떻게 쪼개서 팔아야 최대 수익을 낼 수 있는지를 따지는 겁니다. 예컨대 통나무 길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시장 가격이 매겨졌다고 칩시다. (길이의 단위는 미터, 가격은 만원)
길이 $i$ | 1 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가격 $p_i$ | 1 | 5 | 8 | 9 | 10 | 17 | 17 | 20 |
고려해야 할 경우의 수는 꽤 많습니다. 가령 길이가 4미터인 통나무를 자르는 가짓수는 아래와 같이 8가지나 됩니다. 여기서 최대 이익을 내는 optimal solution은 길이가 2미터인 통나무 두개로 쪼개 파는 경우입니다. 이 때 optimal value는 10만원이 됩니다. ($n$미터 통나무라면 고려해야할 경우의 수는 $2^{n-1}$가지)
그런데 문제를 자세히 살펴보면 부분문제가 겹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. 가령 1미터짜리 통나무의 optimal value는 1입니다(문제 정의상 더 잘게 자를 수 없으므로). 2미터의 optimal value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.
- 1미터짜리 통나무+1미터짜리 통나무를 자르는 모든 경우의 수 가운데 최적 solution : 가격표에서 가져온 1 + 직전 계산결과(1미터짜리의 optimal value) 1 = 2
- 자르지 않고 2미터짜리 통나무 통째로 파는 경우 : 가격표에서 가져온 5
- 가장 큰 값 선택 : $max(2, 5)=5$
3미터의 optimal value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.
- 1미터짜리 통나무+2미터짜리 통나무를 자르는 모든 경우의 수 가운데 최적 solution : 가격표에서 가져온 1 + 직전 계산결과(2미터짜리의 optimal value) 5 = 6
- 2미터짜리 통나무+1미터짜리 통나무를 자르는 모든 경우의 수 가운데 최적 solution : 가격표에서 가져온 5 + 직전 계산결과(1미터짜리의 optimal value) 1 = 6
- 자르지 않고 3미터짜리 통나무 통째로 파는 경우 : 가격표에서 가져온 8
- 가장 큰 값 선택 : $max(6,6,8)=8$
우리의 관심인 4미터의 optimal value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.
- 1미터짜리 통나무+3미터짜리 통나무를 자르는 모든 경우의 수 가운데 최적 solution : 가격표에서 가져온 1 + 직전 계산결과(3미터짜리의 optimal value) 8 = 9
- 2미터짜리 통나무+2미터짜리 통나무를 자르는 모든 경우의 수 가운데 최적 solution : 가격표에서 가져온 5 + 직전 계산결과(2미터짜리의 optimal value) 5 = 10
- 3미터짜리 통나무+1미터짜리 통나무를 자르는 모든 경우의 수 가운데 최적 solution : 가격표에서 가져온 8 + 직전 계산결과(1미터짜리의 optimal value) 1 = 9
- 자르지 않고 4미터짜리 통나무 통째로 파는 경우 : 가격표에서 가져온 9
- 가장 큰 값 선택 : $max(9,10,9,9)=10$
이를 파이썬으로 구현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(출처). 약간 손질하였습니다.
INT_MIN = -32767
def cutRod(price, n):
# val : optimal value
# 0으로 초기화
val = [0 for x in range(n+1)]
for i in range(1, n+1):
max_val = INT_MIN
for j in range(i):
if max_val < price[j] + val[i-j-1]:
max_val = price[j] + val[i-j-1]
val[i] = max_val
return val[n]
arr = [1, 5, 8, 9, 10, 17, 17, 20]
size = len(arr)
print("Maximum Obtainable Value is " + str(cutRod(arr, size)))
Longest Common Subsequence
최장공통부분수열(Longest Common Subsequence) 문제 또한 다이내믹 프로그래밍으로 풀 수 있습니다. 이를 풀려면 먼저 공통수열의 길이를 구해야 합니다. 3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.
case1
수열 $A$와 $B$의 마지막 원소가 공통부분 수열인 경우 : abcd와 ad의 LCS 길이는 2이다. 이는 abc와 a의 LCS 길이에 1을 더한 것과 같다.case2
수열 $A$의 마지막 원소가 공통부분 수열이 아닌 경우 : abcd와 ac의 길이는 2이다. 이는 abc와 ac의 LCS 길이와 같다.case3
수열 $B$의 마지막 원소가 공통부분 수열이 아닌 경우 : abcd와 ade의 길이는 2이다. 이는 abcd와 ad의 LCS 길이와 같다.
수열 $A$와 $B$의 마지막 원소가 서로 같다면 case1
에 해당하고, 다르다면 case2
이거나 case3
에 해당합니다. 그런데 우리는 제일 긴 수열에 관심이 있으므로 case2
, case3
가운데 최대값을 취합니다. 입력 문자열 길이에 해당하는 행렬(0으로 초기화)을 만들어 놓고 행렬을 위와 같은 규칙을 바탕으로 업데이트합니다. 이를 파이썬으로 구현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.
def lcs(a, b):
lengths = [[0 for j in range(len(b)+1)] for i in range(len(a)+1)]
# row 0 and column 0 are initialized to 0 already
for i, x in enumerate(a):
for j, y in enumerate(b):
if x == y:
lengths[i+1][j+1] = lengths[i][j] + 1
else:
lengths[i+1][j+1] = max(lengths[i+1][j], lengths[i][j+1])
optimal value를 찾았으니 이제는 optimal solution을 찾을 차례입니다. 위 코드를 바탕으로 ABCBDAB, BDCABA 두 수열의 LCS 길이를 아래 그림처럼 구했다고 칩시다.
위 행렬 계산은 우측 하단 모서리인 (7, 6)에서 시작합니다. 대상 칸의 값과 바로 위 칸의 값(4)이 같으면 한 칸 위로 옮깁니다. 다르다면 대상 칸의 값과 바로 왼쪽 칸의 값을 비교해 같으면 한 칸 왼쪽으로 옮깁니다. 바로 위 칸과 왼쪽 칸 모두 대상 칸의 값과 다르다면 해당 위치의 원소가 공통수열의 원소에 해당하므로 결과 result 변수에 저장하고, 대각선으로 한 칸 옮깁니다. 이를 구현한 파이썬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.
# read the substring out from the matrix
result = ""
x, y = len(a), len(b)
while x != 0 and y != 0:
if lengths[x][y] == lengths[x-1][y]:
x -= 1
elif lengths[x][y] == lengths[x][y-1]:
y -= 1
else:
result = a[x-1] + result
x -= 1
y -= 1
return result
Matrix chain multiplication
행렬끼리의 곱셈은 곱셈 순서에 따라 스칼라 곱 횟수에 큰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. 예컨대 행렬 $A$의 차원수가 2×3, $B$는 3×4, $C$는 4×5이고 셋을 곱한다고 가정해 봅시다. $(AB)C$의 경우 2×3×4+2×4×5, 총 64회의 스칼라곱 연산을 수행해야 합니다. 그런데 $A(BC)$의 경우 3×4×5+2×3×5, 총 90회의 스칼라곱 연산을 수행해야 합니다. 행렬 곱을 수행하기 전에 스칼라 곱 횟수를 미리 가늠해서 전체적인 계산량을 줄이려는 것이 이 문제의 관심이 되겠습니다.
그런데 행렬 곱셈은 다음과 같이 부분문제가 서로 겹치기 때문에 다이내믹 프로그래밍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
- $ABC$ : $(AB)C$, $A(BC)$
- $ABCD$ : $(AB)(CD)$, $A(BC)D$, …
- …
이를 C언어로 구현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(출처).
/* A naive recursive implementation that simply
follows the above optimal substructure property */
#include <bits/stdc++.h>
#include <stdio.h>
using namespace std;
// Matrix Ai has dimension p[i-1] x p[i]
// for i = 1..n
int MatrixChainOrder(int p[], int i, int j) {
if (i == j)
return 0;
int k;
int min = INT_MAX;
int count;
// place parenthesis at different places
// between first and last matrix, recursively
// calculate count of multiplications for
// each parenthesis placement and return the
// minimum count
for (k = i; k < j; k++) {
count = MatrixChainOrder(p, i, k) + MatrixChainOrder(p, k + 1, j) + p[i - 1] * p[k] * p[j];
if (count < min)
min = count;
}
// Return minimum count
return min;
}
// Driver Code
int main() {
int arr[] = { 1, 2, 3, 4, 3 };
int n = sizeof(arr) / sizeof(arr[0]);
cout << "Minimum number of multiplications is "
<< MatrixChainOrder(arr, 1, n - 1);
}
// This code is contributed by Shivi_Aggarwal
위 코드에서 $p$는 행렬 크기를 나타냅니다. 예컨대 [1,2,3,4]라면 행렬 $A$의 차원수가 1×2, $B$는 2×3, $C$는 3×4이고 셋을 곱한다는 뜻입니다.